비수도권 대학의 위기가 단순히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대학 쏠림 현상의 탓으로만 보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설립자의 학교 사유화나 회계 부정, 부실한 학교 운영 등이 적발돼 대학이 문을 닫는 사례가 이어지면서 비수도권 대학에 대한 신뢰감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

'부실대학'의 대명사로 불려온 전북 남원의 사립대 서남대는 이홍하 전 이사장이 2012년 교육부 특별감사에서 학교 교비 330억 원을 횡령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2018년 폐교했다. 이 전 이사장은 검찰 조사에서 광양보건대, 한려대, 신경대의 교비 567억 원도 횡령한 것으로 드러났다. 비리 규모가 모두 1천억 원을 넘는 등 역대 최대 규모였다. 서남대는 폐교 이후에도 366억 원의 교직원 임금 체불, 의대의 부실한 임상 실습, 사학비리 면죄부 등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1988년 개교한 경주대는 2001년 교육부의 대학종합평가에서 우수대학으로 선정되는 등 경쟁력 있는 대학이었지만 2016년 사학비리가 드러나면서 폐교 위기에 빠졌다. 경주대는 또 2016년부터 5년 연속 정부의 재정지원제한 대학에 선정되면서 국가장학금과 학자금 대출도 막혔다. 더구나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결국 폐교 위기에 몰리고 있다. 

서남대와 경주대 사학비리는 지방대 위기의 원인이 저출산과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학생 수 감소에만 있지 않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횡령·유용 등 대학 설립자나 이사장의 심각한 부정·비리로 재정이 악화돼 폐교 수순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전국에서 문을 닫은 대학은 모두 18곳으로 모두 지방권 대학이다. 이 가운데 사학비리로 폐교된 대학은 14개교에 이른다. 

최근 우리 지역에서도 세한대(구 대불대)가 동티모르 유학생 불법 입학과 등록금 횡령 의혹, 학위 장사 등으로 교수와 학생들이 이승훈 총장의 사퇴를 요구하고 총장을 업무상 횡령혐의로 고발하는 등 파문이 커지고 있다. 세한대는 전남지역의 대표적인 족벌 사학으로 총장이 과거에도 학교 돈을 횡령한 혐의로 두 차례 유죄 판결을 받은 적이 있다.

사법당국은 사학비리를 엄정 수사해 관련자들을 일벌백계함으로써 대학의 목적이 수익성 추구가 아닌 차세대 교육의 질적 제고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